당콕은 3단계에 걸쳐 촬영한 음식 사진속 혈당을 계산합니다.
1.
LLM을 사용해 사진 속에 어떤 음식이 있는지 분류
2.
LLM을 사용해 분석한 음식 별로 혈당 상승량을 분류
3.
개인정보(ex : BMI, 수면의 질)를 반영하여 배수를 곱함
3.1 당뇨병 유형에 따른 혈당상승폭 비율
1형 당뇨병: 2.9배
•
고혈당지수 식사 후 평균 5.3 mmol/L (약 95 mg/dL) 상승
•
일반인은 동일 조건에서 1.8 mmol/L (약 32 mg/dL) 상승
•
혈당 최고치 도달 시간도 일반인의 2배 소요 (76분 vs 38분)
2형 당뇨병: 1.5 이상
•
식후 혈당이 일반적으로 7.8-11.1 mmol/L 범위까지 상승
•
일반인은 대부분 7.8 mmol/L 이하 유지
•
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한 지속적인 고혈당 상태
3.2 수면의 질에 따른 혈당상승폭 비율
좋은 수면 (높은 수면 효율성): 0.85-0.9배
•
수면 효율성이 높을수록 식후 혈당 상승폭 10-15% 감소
•
충분한 수면 시간(7-8시간)일 때 혈당 조절 개선
나쁜 수면 (낮은 수면 효율성, 늦은 취침): 1.15-1.3배
•
늦은 취침 시간마다 혈당 상승폭 증가 (β = 0.52, p = 0.035)
•
수면 부족 시 15-30% 혈당 상승폭 증가
3.3 운동 수준에 따른 혈당상승폭 비율
고강도 운동: 일시적 증가 후 장기간 감소
•
운동 직후: 일시적으로 혈당 상승 (스트레스 호르몬 분비)
•
24-72시간 후: 인슐린 민감도 85% 개선으로 혈당 감소
•
전체적으로는 중강도보다 더 큰 혈당 개선 효과
저강도 운동: 0.9-0.95배
•
중강도보다 약간 낮은 혈당 감소 효과
•
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혈당 개선